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1년 재보궐선거

덤프버전 :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출마설을 다룬 토론 관리 방침상 7~8순위 언론 보도가 1건 이상 or 지역언론 보도 3건 이상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출마설을 다룬 토론 관리 방침상 7~8순위 언론 보도가 1건 이상 or 지역언론 보도 3건 이상

토론 - 해당 직책의 원내정당(출마 당시의 원내정당과 서술 시점의 원내정당 모두 포함\) 후보로 공천받거나, 당내경선에 출마한 이력이 있음

토론 - 오차범위 이내의 여론조사 1위 보기 강조 표시 금지

토론 - 현재의 문서명을 존치하고 하반기 재보궐선거 실시가 공고될 경우 문서명을 2021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로 변경하며 동음이의어 문서를 생성한다.

토론 - 사건사고 문단 존치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지난 선거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제20대
2022년 3월 9일
제21대
2027년 3월 3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선거제21대
2020년 4월 15일
제22대
2024년 4월 10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2022년 6월 1일
제9회
2026년 6월 3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재보궐선거2023년 하반기
2023년 10월 11일
2024년 1월
2024년 1월 31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601961 · 1965 · 1968 · 1969 · 1970 · 1971 · 1977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2012( · ) · 2013( · ) · 2014( · ) · 2015( · ) · 2016 · 2017(4월 · 5월)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3월 · 6월) · 2023( · ) · 2024(1월 · · ) · 2025
부통령 선거제5대
1960년 3월 15일
폐지*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민투표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







2021년 재보궐선거
출구조사 영상
2020년 재보궐선거2021년 재보궐선거
2022년 3월 9일[1]
2022년 3월 재보궐선거
||
선거 결과
정당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석*2석5석6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0석0석2석2석

무소속

0석0석1석1석
,* 장관급 광역자치단체장 포함,
1. 개요
2. 상세 내용
3. 선거 일정
4. 선거 지역
5. 후보
6. 선거 전 예상
7. 변수
8. 선거방송
9. 여론조사
10. 출구조사
11. 투표 결과
11.1. 사전 투표율
11.2. 투표율
11.3. 투표율 분석
12. 개표 결과
13. 사건 및 사고
14. 기타
15.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투표참여 대국민행동수칙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1년 재보궐선거 정책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1년 재보궐선거 투표참여 #
2021년 4월 7일에 실시한 대한민국재보궐선거다. 주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교육감 등의 선출직 공직 가운데 2021년 2월 28일까지 궐위된 곳[2]에서 선거가 치러진다. 대표적으로 서울특별시장부산광역시장을 선출하였다.

선거 당일 기준 18세 이상인 2003년 4월 8일 이전에 출생하여 재보궐선거에 해당하는 선거구의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사람이 투표권을 가진다.[3]

이 선거 이후 현재까지 더불어민주당3연패 기록하고 있다.


2. 상세 내용[편집]


21대 총선에서 1년도 지나지 않아 시행되는 선거라 국회의원 재보선은 몇 석 생기지 않을 걸로 예상되었고, 실제로 단 한 석도 성사되지 않았다. 기초단체장 재보선 역시 PK에서도 보수세가 특히 강한 일부 지역에서만 확정되어서 주목도가 낮았다. 원래대로라면 구청장, 군수 1명씩과 지방의원 몇 명 정도나 뽑는 소규모 선거가 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오거돈 성추행 사건으로 인해 가해자인 오거돈부산광역시장[4] 임기 도중 사퇴했고 박원순 성폭력 사건의 가해자인 박원순서울특별시장이 임기 중 돌연 자살로 생을 마감하면서 상황이 급변한다. 대한민국의 수도제2의 도시의 시장 자리가 모두 성폭력 사건으로 인해 동시에 궐위하는 초유의 사태가 터지면서, 한순간에 거대 양당 모두 전력을 다해서 반드시 승리해야 할, 그야말로 전국 단위급 규모의 초대형 선거로 상황이 바뀐 것이다. 200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이후 17년 만에 판이 커졌는데, 다시 뽑는 광역자치단체장 수는 2004년 상반기의 절반인 2곳이지만, 유권자 수 면에서는 이쪽이 더 많아서 그만큼 규모도 더 크다.

대한민국의 제1, 2도시이자 인구수 2, 3위의 경합지역 광역지자체장의 재보선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며 이렇게 되면 960만 서울 시민[5]과 340만 부산 시민[6]까지 대한민국 인구 4분의 1의 민생과 직결된 대규모의 재보궐 선거가 되면서 2022년에 있을 20대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띠게 되어 미니 대선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선거의 중요성이 급상승했고, 양당 모두 사활을 걸고 임해야 할 상황이 되었다.

위와 같이 규모와 중요성이 큰 선거로 예상되고 있기에 출구조사를 진행하기로 결정됐다. 이미 박원순서울시장이 처음 당선된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서울시장 선거에서 출구조사가 진행된 바 있다.


3. 선거 일정[편집]


파일:2021년재보궐선거 주요사무일정.png
서울이나 부산 등 선거 실시지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으나 타지에서 대학을 다니는 등의 이유로 선거일 혹은 사전투표 기간에 본가로 가기 어려울 경우, 거소투표로써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및 관할 구청 웹사이트에서 거소투표신고서 양식을 다운로드 받아,[7] 3월 20일 18시까지 주민등록지 관할 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로 송부한다. 그러면 거소(학교 기숙사 등)로 투표용지를 발송해 주며, 투표용지에 볼펜 등으로 기표하고 회송용 봉투에 넣어 우편발송하면 끝난다.

우편요금은 수취인(국가/지자체) 부담. 단, 거소가 선거 실시지역 안에 있을 경우, 거소 주변의 사전투표소에 방문하여 사전투표를 하면 된다.[8]


4. 선거 지역[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년 재보궐선거/선거 지역#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1년 재보궐선거 지역구
광역자치단체장
서울서울특별시장더불어민주당 박원순 사망 (보궐)
부산부산광역시장더불어민주당 오거돈 사퇴 (보궐)
기초자치단체장
울산남구청장더불어민주당 김진규 당선 무효 (재)
경남의령군국민의힘 이선두 당선 무효 (재)
광역의회의원
서울강북구 제1선거구더불어민주당 김동식 당선 무효 (재)
경기구리시 제1선거구더불어민주당 서형열 사망 (보궐)
충북보은군 선거구무소속 박재완 사퇴 (보궐)
전남순천시 제1선거구더불어민주당 김기태 사망 (보궐)
고흥군 제2선거구더불어민주당 박금래 사망 (보궐)
경남고성군 제1선거구더불어민주당 이옥철 당선 무효 (재)
의령군 선거구국민의힘 손호현 사퇴 (보궐)
함양군 선거구국민의힘 임재구 사망 (보궐)
기초의회의원
서울영등포구 바선거구더불어민주당 허홍석 당선 무효 (재)
송파구 라선거구더불어민주당 김장환 사망 (보궐)
울산울주군 나선거구더불어민주당 박정옥 사망 (보궐)
경기파주시 가선거구민중당 안소희 피선거권 상실 (보궐)
충남예산군 라선거구국민의힘 유영배 당선 무효 (보궐)
전북김제시 나선거구무소속 온주현 사퇴 (보궐)
전남보성군 다선거구더불어민주당 정광식 피선거권 상실 (보궐)
경남의령군 다선거구국민의힘 손태영 사퇴 (보궐)
함안군 다선거구국민의힘 김정선 피선거권 상실 (보궐)


5. 후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년 재보궐선거/최종 후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선거 전 예상[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년 재보궐선거/선거 전 예상#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변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년 재보궐선거/변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선거방송[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년 재보궐선거/선거방송#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론조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년 재보궐선거/여론조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출구조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년 재보궐선거/출구조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투표 결과[편집]



11.1. 사전 투표율[편집]


일자·시간별 사전 투표율[9]
선거인 수: 12,161,624명
4월 2일
시간투표자 수누적 투표율
7시36,9490.30%
8시76,0460.63%
9시132,0751.09%
10시223,0401.83%
11시332,7362.74%
12시438,3453.60%
13시540,5694.44%
14시654,4565.38%
15시773,4686.36%
16시888,9867.31%
17시1,003,4428.25%
18시1,112,1679.14%
4월 3일
시간투표자 수누적 투표율
7시1,151,4279.47%
8시1,207,7569.93%
9시1,285,10810.57%
10시1,396,64811.48%
11시1,526,79412.55%
12시1,657,26413.63%
13시1,776,91814.61%
14시1,906,57615.68%
15시2,045,13316.82%
16시2,187,78517.99%
17시2,335,50519.20%
18시2,497,95920.54%

지역별 최종 사전 투표율
지역선거인 수사전투표자 수투표율
서울8,425,8691,849,32421.95%
부산2,936,301547,49918.65%
울산344,48841,80312.13%
경기203,75813,4026.58%
충북29,2125,42018.55%
충남15,9212,59616.31%
전북20,8252,46611.84%
전남86,73515,31617.66%
경남98,51520,13320.44%

이전 선거 사전투표율과 비교
1일차
시간2017
대선
2018
지선
2020
총선
2021
재보선
7시0.35%0.34%0.41%0.30%
8시0.76%0.69%0.86%0.63%
9시1.39%1.24%1.51%1.09%
10시2.38%2.04%2.52%1.83%
11시3.53%2.92%3.72%2.74%
12시4.64%3.71%4.90%3.60%
13시5.80%4.49%5.98%4.44%
14시7.06%5.39%7.19%5.38%
15시8.28%6.26%8.49%6.36%
16시9.45%7.09%9.74%7.31%
17시10.60%7.90%10.93%8.25%
18시11.70%8.77%12.14%9.14%
2일차
시간2017
대선
2018
지선
2020
총선
2021
재보선
7시12.06%9.13%12.65%9.47%
8시12.50%9.54%13.25%9.93%
9시13.15%10.14%14.04%10.57%
10시14.15%10.98%15.16%11.48%
11시15.44%11.97%16.46%12.55%
12시16.82%12.99%17.80%13.63%
13시18.17%13.98%19.08%14.61%
14시19.66%15.10%20.45%15.68%
15시21.22%16.28%21.95%16.82%
16시22.78%17.48%23.46%17.99%
17시24.34%18.72%24.95%19.20%
18시26.06%20.14%26.69%20.54%


11.2. 투표율[편집]


시간별 투표율[10][11]
주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시도지사 결과표만 제대로 나옴.[12]
선거인 수: 12,161,624명
시간시간별
투표수
누적
투표수
누적
투표율
출처
7시178,561178,5611.5%#
8시267,514446,0753.7%#
9시313,615759,6906.2%#
10시341,3361,101,0269.1%#
11시381,8111,482,83712.2%#
12시342,0311,824,86815.0%#
13시[13]2,836,6964,661,56438.3%#
14시286,9934,948,55740.6%#
15시268,8895,217,44642.9%#
16시263,0985,480,54445.1%#
17시266,4055,746,94947.3%#
18시267,8426,014,79149.5%#
19시299,2936,311,08451.9%#
20시556,3866,867,47055.5%#

지역별 투표율
지역선거인 수투표자 수총 투표율
서울8,425,8694,903,62458.2%
부산2,936,3011,547,29652.7%
울산344,488132,23438.4%
경기203,75848,65223.9%
충북29,21213,59146.5%
충남15,9217,36846.3%
전북20,8256,69332.1%
전남86,73534,70140.0%
경남98,51552,23053.0%
투표율 최저 지역은 파란색, 투표율 최고 지역은 빨간색으로 표기.

이전 선거 투표율과 비교[14][15]
시간2011
서울
2017
대선
2018
지선
2020
총선
2021
재보선
7시2.1%2.5%2.2%2.2%1.5%
8시6.2%5.6%4.6%5.1%3.7%
9시10.9%9.4%7.7%8.0%6.2%
10시15.5%14.1%11.5%11.4%9.1%
11시19.4%19.4%15.7%15.3%12.2%
12시22.7%24.5%19.7%19.2%15.0%
13시26.8%55.5%43.5%49.7%38.3%
14시29.5%59.9%46.8%53.0%40.6%
15시32.0%63.7%50.1%56.5%42.9%
16시34.7%67.1%53.2%59.7%45.1%
17시37.2%70.1%56.1%62.6%47.3%
18시39.9%72.7%60.2%66.2%49.5%
19시42.9%75.1%51.9%
20시48.6%77.2%55.5%


11.3. 투표율 분석[편집]


파일:Screenshot_20210922-164740_Chrome.jpg
파일:2021재보선연령별분석.jpg
2021년 7월 선관위에서 투표율 관련 보고서를 제출했다. #

사전투표 투표율은 최종 20.54%를 기록했고, 7회 지선(20.14%)보다는 높게, 19대 대선(26.06%)과 21대 총선(26.69%)보다는 낮게 나왔다. 재보선 사전투표율로는 역대 가장 높은 수치이다.

이어 본투표에서도 최종 투표율이 55.5%를 기록하면서 50%의 투표율을 돌파해 재보선 역대 투표율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는 부산보다는 서울의 투표율이 더 높게 나왔으며, 70대 이상 고령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의 투표율이 남성보다 높았다.

서울, 부산시장 선거에서는 모든 연령과 성별집단에서 보궐선거 기준 최고 투표율이 나왔다. 다만 젠더이슈가 화두로 떠오른 20대 남녀 투표율은 과반에 미치지 않았고[16], 20대 남성의 투표율이 동나이대 여성 대비 더 낮게 나왔다. 젠더갈등과 20대 남녀 유권자 표심 해석을 놓고 각 당과 진영이 저마다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할 소지가 있어보인다. 향후 치러질 전국 단위 선거에서는 보다 쉬운 일반화 가능한 선거 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전국 단위 선거, 특히 대선은 투표율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12. 개표 결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년 재보궐선거/개표 결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1. 지역별 결과 분석[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년 재보궐선거/지역별 결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2. 정당별 결과 분석[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년 재보궐선거/정당별 결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사건 및 사고[편집]





14. 기타[편집]


선거 홍보 포스터
파일:2021년 재보궐선거 포스터.png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7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5. 같이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6:48:54에 나무위키 2021년 재보궐선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20대 대통령 선거와 동시 실시.[2] 일부 지역은 궐위사유가 발생함에도 미실시.[3] 민법 상 연령은 출생일부터 하루로 계산해서 생일 하루 전날 나이가 바뀌기 때문에 2003년 4월 8일에 태어난 사람도 이번 재보궐선거에서 투표가 가능하다.#[4] 소속 정당에서도 제명되었다.[5] 유권자 수 842만 5869명[6] 유권자 수 293만 6301명[7] 관공서 홈페이지 특성상 익스플로러로 들어가는 게 편하다.[8] 예시로, 인서울 대학교를 다니는 부산광역시 출신 학생이라면 사전투표 기간에 기숙사나 자취방 근처의 사전투표소 아무 곳이나 찾아가서 투표하면 된다.[9] 사전투표상황은 해당시간의 ‘10분 전’에 집계된 자료입니다. (18:00 제외)[10] 투표상황은 해당시간의 정각에 집계된 자료입니다.[11] 각 시간별 투표자 수는 잠정 투표자 수입니다.[12] 이번 선거는 서울, 부산시장 외에 타 선거 투표자 수가 선관위 홈페이지에서 제대로 집계되지 않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시도지사 결과값만 메인에 표출되고 나머지 시군구청장, 시도의원, 시군구의원 선거는 별도 메뉴에 따로 정렬돼 있다. 이 때문에 시군구청장, 시도의원, 시군구의원 선거를 전부 포괄한 전체 재보선 투표율은 1시간마다 나오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련 연합뉴스, 뉴시스, 뉴스1 등 관련 보도를 직접 확인해야 한다.[13] 13시부터 사전투표, 거소투표 투표자 수 합산 시작. 누적 투표수에 포함되어 반영됨.[14] 사전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재외선거의 투표수 합산 시작. 누적 투표수에 포함됨.[15] 2011 재보궐선거 투표율 중 서울의 투표율만 기재. 연합뉴스8시 투표율10시 투표율[16] 투표장에 나오지 않은 기권자가 더 많다는 말이다.[17] 연합뉴스 기사에서 정강이를 걷어찼다는 부분이 있다. 링크 #2 참고.[18] 17통, 18통, 20통 1~2반 제외.[19] 의령군수, 경남도의원.[20] 의령군수, 경남도의원, 의령군의원.[21] 사실 이번 선거에 나가 당선되는 3인 모두에겐 정말 좋은 기회이다. 결국 많은 지방 정치인들의 최종 목표는 국회의원일 텐데, 말단 기초의원부터 국회의원 공천을 받으려면 사실상 기초의원→광역의원→기초단체장 2~3선의 커리어를 쌓는 게 보통이기 때문에, 최소 12년은 넘게 걸릴 것이다. 하지만 이번 재보궐선거를 통해 그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당선인들에겐 정말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다.[22] 2011년 박원순, 2021년 오세훈[23] 사실 부산시장 자리는 1995년 광역시 개칭 이후로 서울대와 고려대 출신들이 줄곧 나눠먹고 있다. 서병수 시장만 서강대 출신.[24] 박형준과 김영춘은 고려대 2년 선후배로, 박형준이 문예부(문학 동아리) 회장을 할 때 신입생 김영춘이 신입 부원으로 들어와 박형준이 많이 데리고 다니면서 친해져 박형준이 자신이 살던 자취방을 김영춘에게 물려주기도 했다고 한다.[25] 오세훈은 자진 사퇴, 박원순은 성추행자살.[26] 실제로 고려대학교 교우회에서 박형준, 오세훈, 김영춘 교우의 서울·부산시장 후보 선출을 언급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27] 예외적으로 1년 전의 21대 총선에서 광진을 지역구에 출마 여성 후보인 고민정에 패했지만, 이번 보궐선거에서 광진구에서도 박영선을 앞서는 득표율을 기록해 간접적으로 설욕했다.[28] 최초 캡쳐 이후 광주사랑방부동산 '광사부 내집갖기'로 카페명을 변경하였다.[29] 네이버 검색을 통해 접근하면 확인이 가능하다.[30] 박원순 전 서울시장은 자살하지 않았어도 민선 5기인 2011년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민선 6,7기까지 연임해 어차피 8회 지선에는 출마가 불가능한 상태였다.[31] 심대평충남지사가 4선 광역단체장, 우근민제주지사가 5선 광역단체장을 지내긴 했지만 심 전 지사는 첫 번째 집권은 노태우 전 대통령에 의한 관선직으로 시작했고 민선은 나머지 3선 연임으로 끝냈으며 우 전 지사도 노태우 전 대통령에 의한 관선직으로 시작해 김영삼 전 대통령까지 연임했으며 민선으로 재선을 했다가 중간에 쉬고 3선이 되었다. 즉 민선직에 당선되었다가 잠시 물러난 후 다시 당선된 사례가 오세훈이 처음은 아니지만, 민선만으로 4선이 된 사례는 광역자치단체에서는 현재까지 전무하다.[32] 한편 박영선과 같은 MBC 출신인 배현진(송파구 을)은 오세훈 지원 유세에 참여했다.[33] 둘 다 박씨와 오씨의 근본이자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밀양 박씨해주 오씨이기도 하다. 두 명의 박 시장이 모두 종교가 딱히 없는 무종교인 것도 비슷하다.[34] 박씨는 본관이 여러 개가 있지만(밀양, 반남, 함양 등....) 전부 박혁거세 계열이다. 오릉 문서 참조.